카테고리 없음

고등학생 사교육비 월평균 증가 이유 학벌주의 대학 서열화 불안감 취업

태공망71 2025. 2. 3. 00:10

우리나라 고등학생 사교육비 월평균 74만 원으로 조사되었습니다. 중학생은 59만 원, 초등학생은 46만 원으로 나타났습니다. 학령인구가 줄어드는 데 사교육비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습니다. 원인은 갈수록 심각해지는 학벌주의, 대학 서열화와 취업 불안감 때문으로 보고 있습니다.

 

고등학생 사교육비


먼저 우리나라 사교육비 지출 총액은 2015년 18조 원에서 2023년 27조로 늘었습니다. 같은 기간 초중고 학생은 609만 명에서 512만 명으로 줄었습니다. 100만 명가량 줄었습니다.

 

학령인구가 감소하지만 사교육비는 오히려 크게 늘어나고 있습니다. 특히 학년이 올라갈수록 비용은 더 커집니다. 유치원생은 조금 차이가 심하지만 초등학생은 평균 46만 2000원, 중학생은 59만 6000원, 고등학생은 74만 원으로 조사되었습니다.

 

 

고등학생-사교육비-학원
고등학생 사교육비 학원

 

 

하지만 이는 평균에 불과하고, 서울의 경우는 전체 평균 74만 원입니다. 이는 전국 평균 55만 3000원보다 20만 원가량 높습니다. 여기에 강남의 경우는 사교육비가 140만 원이 넘습니다. 

 

특히 월소득이 800만 원이 넘는 가정이 300만 원 이하의 가정보다 사교육비가 무려 3.7배 높았습니다. 부의 대물림이 교육으로 이어지는 현상입니다. 그런데 이렇게 사교육비가 계속 증가하는 이유가 뭘까요?

 

 

2028학년도 수능 국어 수학 선택과목 폐지 과탐 사탐 변별력 강화 본고사

2028학년도 수능 개편 방안이 공개되었습니다. 주요 핵심 내용은 선택과목 폐지입니다. 국어의 경우 화법과...

blog.naver.com

 

사교육비 증가 이유


앞에서 설명했듯이 학령인구가 감소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교육비는 오히려 크게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유는 바로 대학 졸업 후 취업으로 인한 월 소득 때문입니다. 

 

최근에 지방대에 다니는 학생이 수도권 학교로 갈아타기 위해 반수 재수를 하고, 또 서울이나 수도권 대학에 다니는 학생이 서울에 상위권 대학에 다시 재도전하고, 또 상위권 대학에 다니는 학생들은 다시 SKY대학에 들어가려고 다시 재도전합니다. 

 

이는 의대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지방 의대에서 수도권 의대로, 다시 서울권 의대로, 다시 빅 5 의대로 진학하려는 학생들이 갈수록 심화되고 있습니다. 최근 N수생이 크게 늘어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결국 학부모와 학생이 겪는 대학 졸업 후 취업에 대한 불안감 때문입니다. 이제 일반적인 4년제를 나와도, 아니 인서울 대학을 나와도 취업이 어렵거나 취업이 되어도 연봉이 낮아지는 두려움이 강합니다. 

 

 

사교육비-증가-이유-취업-연봉
사교육비 증가 이유 취업 연봉 공부하는 학생들

 

 

거기다 우리나라의 불공정한 학연, 학벌이나 대학 서열화 문화가 있어, 좋은 대학을 나온 사람들의 엘리트 집단이 형성되는 관습적인 사회 모순이 있습니다.

 

아무리 능력이 있어도, 결국 학벌이나 출신 대학에 따라 승진이나 대우가 달라집니다. 결국 학생들이 더 좋은 대학을 가려고 하는 목적은 뚜렷해질 수밖에 없습니다. 그러니 비용이 많이 들어도 비싼 고비용의 사교육을 들어야 하고, 이를 감당할 수 있는 가정만이 자녀들 더 좋은 대학에 보낼 수 있는, 부의 대물림이 이어지는 것입니다. 

 

앞에서 설명했듯이 월소득이 800만 원이 넘는 가정이 300만 원 미만의 가정보다 지출하는 사교육비가 3.7배입니다. 강남 대치동 도곡동 역삼동에 사는 학생들의 평균 1인당 사교육비가 월 180만 원이 넘는다고 합니다. 

 

월 사교육비 1인당 180만 원을 감당할 수 있는 대한민국 중산층 가정은 얼마나 있을까요? 거의 전멸입니다. 부모의 능력에 따라 자녀의 대학이 달라지는 것이 지금의 대한민국 현실입니다. 

 

그러니 학령인구가 감소해도, 불안감에 학부모가 자녀에 사교육비를 계속 부담하는 악순환이 되는 것입니다. 해결 방법은 없을까요?

 

 

의대 정시 등록 포기 추가합격자 2025학년도 서울대 인하대 고신대

2024학년도 의대 정시 등록 포기자가 최종 추가 합격자까지 분석하면 1711명으로 나타났습니다. 정원 1176...

blog.naver.com

 

사교육비 줄이는 방법


원론적으로 말하면 공교육을 강화하고, 수능을 교과서 내에서 출제하고, 쉽게 출제하여 누구나 학교 수업만으로 좋은 대학을 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방법이라 할 것입니다. 

 

이건 엉터리 해결 방법입니다. 아무리 수능이 쉬어도, 상위권 대학은 자신들이 뽑고 싶은 학생들은 위해 다른 차원의 변별력을 요구할 것입니다. 결국 본고사 형태의 선발 구조가 생길 것이고, 결국 다시 본고사를 준비하는 사교육비가 늘어날 것입니다. 

 

쉬운 수능은 변별력 하락으로 상위권 대학은 대학 차원의 본고사를 준비할 것입니다. 공교육으로는 절대로 학벌주의나 대학 서열화를 막지 못합니다.

 

실제로 성인을 대상으로 여론조사 한 결과, 지금의 학벌주의와 대학 서열화가 계속 유지된다고 응답한 비율이 82.5%입니다. 이 중에서 더 심화될 것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34%입니다. 

 

국민들이 바보가 아닙니다. 공교육만으로는 절대로 사교육비를 막지 못합니다. 핵심은 말 그대로 학벌주의와 대학 서열화는 막는 것입니다. 

 

너무 길게 설명하기는 어렵고 간단하게 설명을 하면, 우리나라 최고 명문 SKY 대학을 나온 학생들과 지방대 나온 학생들의 취업 후 연봉이 차이가 없거나 승진에 장애물이 없고, 오로지 실력이나 성과에 따라 인사나 연봉이 결정이 된다면, 좋은 대학에 들어가려고 사교육비를 엄청 투자하지는 않을 것입니다. 

 

이는 고졸이나 대졸도 마찬가지입니다. 예를 들어 삼성전자에 입사를 하는데 대졸 신입사원과 고졸 신입사원이 초봉이 차이가 거의 없고, 승진에도 큰 차이가 없다면, 누가 일부러 대학을 나오려고 할까요?

 

물론 대졸 취업생과 고졸 취업생의 능력을 모르는 것은 아닙니다. 능력이 대졸이 높다면 이는 대학졸업과 상관없이 능력 위주로 평가하면 됩니다. 고졸이라도 대졸보다 능력이 떨어지지 않는다면 고졸이라고 해서 차별을 받지 않는다면...

 

아마도 누구나 좋은 대학을 가려고 목숨 걸고 공부하지 않을 것입니다. 취업을 위해 열심히 하는 것은 당연합니다. 핵심은 대학 간판이 아니라, 취업준비생이 가지고 있는 능력을 어떻게 판단하느냐에 있습니다. 

 

학력 구분 없이 오로지 능력만으로 기업이 인재를 선발하고, 또 선발된 신입사원들이 오로지 학연이나 혈연이 아닌 능력으로 평가를 받고, 그에 맞는 연봉을 받는다면, 굳이 상위권 대학을 가려고 엄청난 사교육비를 투자하여 공부하지 않을 것입니다. 

 

그러나 역시 취준생들도 취업을 위해 많은 비용을 부담해야 하는 어려움은 있습니다. 이 역시 능력을 키우는 과정에 해당이 된다면 이는 어쩔 수 없는 추가 취업 사교육비가 늘어나는 구조입니다.

 

그래서 마지막 선택은 노동의 가치입니다. 만약 의대를 졸업해서 의사가 된 사람과, 법대를 졸업해서 변호사가 된 사람의 연봉이 예를 들어 1억 5000만 원이라고 하고, 고졸이면서 자동차 제조 회사에 다니고 있는 사람이 연봉이 1억 원 정도 된다면, 이는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근로와 노동의 가치가 인정받는 사회라 할 수 있습니다.

 

 

자동차-제조-공장-노동자
나동차 제조 공장 노동자

 

 

또 미화부 즉 청소부가 한 달에 500만 원의 월급을 받고, 수당이나 연장 근로, 보너스까지 합쳐서 600~700만 원 정도 월급을 받는다면, 대학을 졸업하지 않아도 순수한 노동의 가치로도 충분히 높은 연봉을 받을 수 있는 사회가 된다면, 학벌주의, 대학 서열화로 인한 엘리트 중심의 사회는 반드시 무너질 것입니다. 그럼 당연히 정말 공부를 하고 싶은 학생이 아니라면 굳이 대학을 갈 필요는 없습니다. 

 

 

거리를-청소-하는-청소부
거리를 청소하는 청소부

 

 

근본적인 해결 방법은 고등학생 사교육비 월평균 74만 원이 핵심이 아니라, 우리 사회가 노동의 가치를 충분히 존중하고 인정하는 사회가 되어, 더 땀 흘리고 고생하는 사람이 충분히 대우를 받는 세상이 되면, 자연스럽게 대학을 가려는 학생은 줄어들게 되고, 그럼 당연히 사교육비는 크게 줄어들 것입니다. 이게 가장 현명한 사교육비 줄이는 방법입니다. 

 

 

자사고 경쟁률 하락 원인 불안한 교육 정책 높은 등록금 세화고 휘문고 하나고 상산고

2025학년도 국제고 자사고 경쟁률 하락하였습니다. 원인으로는 불안한 입시 교육 정책과 경기 불황으로 인한 높은 등록금이 원인으로 보고 있습니다. 특히 휘문고와 세화고는 미달되었습니다.

upek.tistory.com

 

 

고려대 등록금 인상 이유 물가상승 재정 악화 경쟁력 강화 성균관대 중앙대

1월 31일 고려대 등록금 5% 인상이 확정되었습니다. 더불어 성균관대 4.9%, 중앙대 4.95% 인상을 의결하였습니다. 서울에 18개 대학이 등록금을 인상하였습니다. 이유는 물가상승으로 인한 재정 악화

upek.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