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 개혁 보험료율 소득대체율 공론화 결과 1안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가 전체 56%로 선정되었습니다. 간단하게 설명을 하면 보험료를 더 올리고, 보험료를 더 길게 내고, 지금보다 더 많이 받자는 결과입니다. 하지만 여전히 고갈에 대한 두려움은 있습니다.
국민연금 개혁 보험료율 소득대체율
공론회에 참여한 시민대표 492명이 최종 1안을 56% 지지하며 토론을 마쳤습니다. 공론회 결과를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토론을 걸쳐 나온 방안이 2가지입니다.
1안은 소득보장안 보험료율 9%에서 13%를 인상하고, 소득대체율을 기존 40%에서 50%로 올리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는 가입기간이 40년이 넘어야 합니다.
2안은 재정안정안으로 보험료율 9%에서 12%로 인상하고, 소득대체율은 기존 40%를 유지하는 것입니다. 그럼 재정에 대한 보장이 조금 길어집니다.
참고로 소득대체율은 평균 소득 대비 받는 연금액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평생 월급이 평균 300만 원이면 40%는 120만 원이고, 50%는 150만 원입니다. 즉 이런 소득대체율을 1안이 50%로 올린다는 계획입니다. 다만 소득대체율이 높으면 연금 재정이 불안하게 됩니다. 반면 연금 재정이 안정적이면 연금액이 줄어드는 반작용이 있습니다.
결론은 시민 대표자들이 1안을 선택하였습니다. 즉 더 많이 내고, 더 길게 내고, 더 보장을 받아야 한다는 뜻입니다. 추가로 만 65세 미만까지 연금 보험료를 내야 합니다.
국민연금 고갈
핵심은 지금처럼 연금을 운영하면 2041년에 적자가 발생하고, 2055년에는 연금이 고갈됩니다. 그러나 연금 개혁을 하면 1안은 2062년, 2안은 2063년에 연금이 고갈됩니다. 즉 7년 8년 정도 늦어지는 정도입니다. 그러니깐 완전한 해결책은 아닙니다.
단순히 연금의 보험료율을 더 높이고, 더 길게 내도, 결국은 고갈됩니다. 이런 문제는 결국 부양해야 하는 노인층이 많아져서 생기는 문제입니다. 연금 가입자 수를 유지하여 꾸준히 연금을 내게 하는 것이 국민연금 개혁이라 할 수 있습니다.
저출산 고령화 문제
결국 연금 개혁의 핵심은 고갈입니다. 이유는 연금 보험료를 납입하는 젊은 층보다 연금을 받아야 하는 노인층이 더 많아지기 때문입니다. 이를 젊은 층이 부양하기 사실상 어렵습니다. 이게 다 저출산 고령화가 문제입니다.
저출산 고령화 문제를 해결하지 않으면 결국 국민연금 개혁 보험료율 소득대체율 연금 고갈로 의미가 없어집니다. 하지만 더 큰 문제는 기술의 발전으로 AI가 일을 하는 시대가 도래합니다.
그럼 젊은층도 일자리가 사라지고, 소득이 없어, 연금 보험료 납입에 어려움이 생길 수 있고, 또 적어도 보험료 납입자가 크게 줄어들 것으로 예상이 됩니다. 즉 국민연금 제도 자체가 크게 의미가 없어질 수 있습니다. 결국 노인들의 소득대체율만 중요한 것이 아니라, 국민들 모두의 소득이 보장되어야 하는 어려움이 생깁니다.
하지만 일단 연금 고갈에 대한 국민적 합의를 통해서 이 어려운 난관을 함께 해결하는 자세가 중요합니다. 앞으로의 변화까지 모두 생각하기는 사실상 어렵습니다. 솔직히 기본소득 제도를 도입해야 할 것으로 보이지만 이는 앞으로의 과제이고, 지금은 국민연금 개혁 보험료율 소득대체율 고갈시점에 대한 논의만으로도 의미가 있습니다. 앞으로도 계속적인 국민적 합의와 논의로 이 어려운 과제를 함께 극복해야 합니다. 하지만 결국 기본소득으로 국민들의 소득을 보장해야 할 것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