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신혼부부 주거비용을 줄여주기 위해 전세대출 한도 3억 원, 최대 이자 4.5%를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단 전세금 7억 원 이하 주택과 주거용 오피스텔만 가능하고, 연 소득이 1억 3000만 원 이하이면 이자 지원 대상이 됩니다. 연간 최대 1350만 원 , 10년간 장기 지원입니다.
신혼부부 전세대출 이자 지원
서울시가 4년간 4878억 원을 투입하여 신혼부부 보증금 전세 대출 이자를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기존 한도 2억 원에서 3억 원으로 늘렸고, 이자 지원도 4%에서 4.5%로 확대하였습니다. 그럼 최대 대출 3억 원 이자 연간 1350만 원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그것도 최대 10년간입니다. 파격적인 신혼부부 이자 지원이라 할 수 있습니다.
2024년 신혼부부 전세대출 이자 지원이 변경되었습니다. 소득 기준이 상향되어 1억 3000만 원까지 지원을 받고, 소득 구간별 이자 지원은 최대 4.5%입니다. 아래 자세한 신혼부부 전세대출 이자 지원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서울시 신혼부부 임차보증금 이자 지원 소득 기준 금리
서울시 신혼부부 임차보증금 이자 지원 소득 기준이 상향되었습니다. 기존 9700만 원에서 1억 3000만 원으로 올랐습니다. 다만 소득 구간에 따라 차등으로 이자 지원을 받습니다. 추가로 자녀가 있
upek.tistory.com
지원 자격 신청
서울시 거주하는 결혼 7년 이내 신혼부부 또는 예비 신혼부부이면 가능하고, 연 소득이 1억 3000만 원 이하, 전세금 7억 원 이하 주택이나 주거용 오피스텔이면 됩니다. 신청은 서울주거포털에서 할 수 있습니다. 이 정도 지원이면 상당히 파격적입니다. 왜 이렇게 지원을 하는 걸까요?
저출산 정책 지원
서울시의 혼인 건수가 해마다 감소하고 있습니다. 특히 집값이 1% 오르면 합계출산율이 0.014명 감소한다고 합니다. 거기다 2018년 5만 건에서 2019년 4만여 건, 2021년, 2022년에는 3만여 건으로 혼인 건수가 줄었습니다. 당연히 출산율에 악영향이 아닐 수 없습니다. 또 신혼부부 10쌍 중 9쌍은 평균 1억 5천만 원의 대출을 받는다고 합니다.
서울시가 왜 신혼부부 또는 예비 신혼부부에게 보증금 전세대출 이자를 지원하는지 아시겠죠! 주거 비용을 지원해서 혼인 건수를 늘리고, 출산율을 높여,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입니다. 실제로 많은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연간 이자 비용 1350만 원이면 월 110만 원을 아낄 수 있습니다. 내수 진작에도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물론 서울시 신혼부부 보증금 전세대출 이자 지원만으로 저출산 문제가 완전히 해결되지는 않지만, 이런 정책을 시작으로 저출산의 걸림돌인 집값 안정과 육아 비용 그리고 사교육비를 조금씩 해결하면 저출산 문제가 조금씩 해결될 것으로 보입니다. 앞으로도 많은 정책 지원을 부탁합니다.
자녀 결혼 자금 증여세 공제 확대 차별 논란
정부가 자녀 결혼 자금 증여세 공제 확대를 검토하고 있습니다. 현행 5000만 원에서 최대 1억 5천만 원까지 고려하고 있습니다. 우선 결혼에 필요한 전세 자금을 마련하는데 큰 도움이 되어, 결혼
upek.tistory.com
충남 부여군 결혼정착금 700만원 지역소멸 저출산
인구 감소 지역 소멸 정책에 일환으로 충남 부여군이 결혼정착금 700만 원을 지급합니다. 부여군에서 살고, 주민등록증 거주자이어야 합니다. 정착금이라 결혼 1년 이후 신고하면 결혼정착금을
upek.tistory.com
모바일 청첩장 스미싱 사기 예방방법
최근 모바일 청첩장 스미싱 사기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기존에서 보이스 피싱으로 하였지만 요즘은 개인정보 유출이 심하며, 마치 진짜인 것처럼 문자가 와서 주소를 클릭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upek.tistory.com
결혼식 축의금 지인 5만원 적정
결혼식 적정 축의금이 얼마인가를 청년에게 물어보았습니다. 지인 5만 원 친한 친구는 10만 원 이상이라고 답했습니다. 특히 가끔 보는 지인, 동호회 회원 등은 5만 원이 적정하다는 의견이 65%가
upek.tistory.com
전남 청년부부 결혼축하금 200만원 신청자격
전남은 청년부부 결혼축하금 지원합니다. 올해 예산이 100억 원이고 총 5000쌍에게 200만 원씩 지급합니다. 인구 유입을 늘리고, 정착을 촉지 시키겠다는 정책입니다. 하지만 200만 원을 받으려고
upek.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