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육아휴직 복직 강등 승진 탈락 남녀차별 시정명령 과태료

by 태공망71 2023. 10. 16.

육아휴직 복직 강등 승진 탈락한 여성에게 남녀차별 시정명령을 중노위가 내렸습니다. 시정명령을 어길 시 과태료 1억 원이 부과됩니다. 이는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입된 휴직을 오히려 직급을 강등하고, 승진을 탈락시키는 등 불이익을 주는 행위에 철퇴를 내리는 명령입니다. 

 

육아휴직 복직 강등 승진 제외


사실 대기업이나 공기업 또는 공공기관이 아니면 여성이나 남성이 출산휴가를 쓰는 것은 정말 어려운 일입니다. 왜냐하면 휴직을 쓰면 퇴사의 압박은 물론이고 퇴사를 않으면, 강등을 당하고, 승진 기회를 주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사실 아이를 낳고도 휴직을 쓰기 어려운 것이 현실입니다.

 

 

그래서 중노위(중앙노동위원회)가 남녀차별을 주는 기업에 철퇴를 내렸습니다. 휴직을 쓰고 온 여성에게 남성을 포함하여 남녀고용평등법 19조 4항에 의해 복귀 후 동일한 업무를 주거나 또는 같은 수준의 임금을 지급하여 복귀시켜야 합니다. 

 

그런데 일부 중견 기업들이 아이를 낳고 휴직을 쓰는 여성을 포함한 남성에게 승진에 대한 기회를 박탈하는 불이익을 주고 있습니다.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는데 오히려 장애물이 되고 있습니다. 중노위에 시정명령은 지극히 당연합니다. 

 

사건 내용


임직원이 1000명이 넘는 회사에서 파트장으로 일하던 A 씨가 출산 휴가와 육아휴직을 사용하였습니다. 이 과정에서 A 씨 부서가 통폐합이 되었고, 파트장 직위는 해제되었습니다. 휴가를 다녀온 A 씨는 강등이 되어 다른 부서로 발령이 되었고, 또 승진 기회에서 적합하지 않다는 이유로 탈락되었습니다. 

 

그러니깐 파트장 직위가 해제되고 직위가 강등이 되고, 다른 부서로 이동되었으나 승진 기회를 얻지 못했습니다. 이에 A 씨는 부당하다고 노동위원에 남녀 차별 신청을 했습니다. 하지만 초심인 지노위는 남녀 차별이 아니다고 판단하였습니다. 즉 회사의 인사는 전혀 문제가 없다고 판단하였습니다.

 

하지만 중노위 판결은 달랐습니다. A 씨가 다니는 회사가 실제로 여성이 남성보다 더 휴직을 많이 사용하고 있고, 실질적으로 여성에게 불리한 결과를 초래한다고 보았습니다. 즉 남녀 차별이 있다고 보았습니다. 그래서 중노위(중앙노동위원회)는 A 씨에게 승진 기회를 주어야 하고, 또 승진 대상으로 평가가 된다면 그동안의 임금 차액을 지급해야 한다고 판결하였습니다. 또 차별적 내용이 담긴 취업규칙과 규정을 개선하라는 시정명령을 내렸습니다. 

 

시정명령 과태료


회사는 중노위 판결에 따라 시정명령을 지키고, 이행상황을 제출해야 합니다. 만약  정당한 이유 없이 이행 명령을 하지 않으면 과태료 1억 원이 부과됩니다. 

 

이번 출산 휴가 후 복귀 강등 승진 탈락 남녀 차별에 대한 시정명령은 처음입니다. 그동안 성희롱에 대해서 시정명령을 내린 적은 있으나 아이 낳고 휴직 후 복귀에 대한 차별에 대한 시정명령은 없었습니다. 이는 저출산이 사회적 문제가 대두되는 상황에서 기업이 앞장서서 지원해야 할 휴직을 오히려 차별을 두는 것에 대한 철퇴를 내리는 것과 같습니다. 

 

 

육아휴직-복직-강등-승진-탈락-남녀차별
육아휴직 복직 강등 승진 탈락 남녀차별

 

 

정부는 저출산으로 출산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고 있는데 일부 기업들이 이를 오히려 차별로 이용하는 것은 저출산 정책에 정면으로 위배하는 행위입니다. 반드시 과태료를 물어 다시는 이런 일이 없도록 일벌백계가 되어야 합니다. 육아휴직 복귀 강등 승진 탈락은 사실 일반적인 기업에서 만연한 행태입니다. 반드시 이런 일이 없도록 강하게 처벌해 주기 바랍니다. 

 

 

맞벌이 부부 육아휴직 급여 최대 월 900만 원 - upek1.com

맞벌이 부부 육아휴직 급여 최대 월 900만 원을 받을 수 있고, 최장 6개월 동안 3900만 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물론 부부가 같이 육아 휴직을 써야 하고, 통상 임금이 각자 450만 원이 넘는 경우입니

upek1.com

 

2023년 육아 지원금 아동수당 부모급여 4300만 원 - upek1.com

2023년 육아 지원금 아동수당 부모급여 보육료 육아학비 가정양육수당 영아수당 등 정부 지원 수당을 모두 합치면 최소 2700만 원 최대 4300만 원을 아이 낳으면 부모가 받을 수 있습니다. 거기다

upek1.com

 

육아휴직급여 인상 최저임금 수준 200만 원 문제는 고용 불안

육아휴직급여 인상 최저임금 수준 200만 원으로 인상을 정부가 심각하게 고려하고 있습니다. 이유는 저출산 문제이기도 하고, 실제로 휴직을 하는 부모에게 현재 150만 원으로는 턱없이 부족하여

upek.tistory.com

 

유급 육아휴직 18개월 연장 영아기 특례 기간 임금 100%

유급 육아휴직 18개월 연장하였습니다. 저출산 문제가 심각하여, 경력 단절 불안을 없애고 편안하게 아이를 볼 수 있도록 엄마 아빠 모두 육아휴직을 늘렸습니다. 단 엄마 아빠 모두 3개월 이상

upek.tistory.com

 

서울시 육아휴직 장려금 대상 신청 방법 최대 240만원

서울시 육아휴직 장려금 2023년 9월 1일부터 신청을 받아 지급합니다. 최대 240만 원까지 지급하고, 1년 이상 서울 거주자이고 가구 중위소득 150%이고, 엄마 아빠 모두 동시에 신청할 수 있습니다.

upek.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