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연금 대출 이자 얼마인지 아시나요? 이게 모르고 연금 가입하면 나중에 급전이 필요하거나 해지하거나 상속을 할 때 남는 돈이 없을 수 있습니다. 실제 연금 이자를 아시면 가입이 쉽지 않으나, 평생 살 각오가 있다면 가입을 해도 괜찮습니다.
주택연금 대출 이자
연금 가입 시 기준금리에 가산금리를 더해서 금리가 적용됩니다. 여기서 추가로 가입비 즉 초기 보증료를 내고, 연 보증료를 계산하면 됩니다. 연금은 사실상 집을 담보로 대출을 받는 것이라 생각하면 됩니다. 당연히 이자가 있습니다.
금리를 자세히 알아보면 우선 적용금리는 기준금리에 가산금리를 더하는 방식입니다. 기준금리는 2가지 방식이 있습니다. 하나는 3개월 CD 금리와 신규취급액 코픽스(COFIX) 금리 중 선택하면 됩니다. 코픽스는 6개월 단위 변동금리이고, CD 금리는 3개월 단위 변동금리입니다.

지금 기준으로는 3개월 CD 금리가 3.68%에 가산금리 1.1%를 더해 4.79%가 되고, 코픽스의 경우는 기준금리 3.42%에서 가산금리 0.85%를 더해 4.27% 금리가 적용됩니다. 금리 변동에 따라 선택을 잘하셔야 합니다.
그런데 여기에 추가로 초기 가입비가 있습니다. 이는 초기 보증료인데 이는 주택 감정가의 1.5%입니다. 만약 주택 가격 감정가가 7억 원이면 1050만 원을 내야 합니다. 그리고 연 보증료 0.75%를 내야 합니다. 문제는 이 모든 금리 적용 방식이 복리입니다. 얼마나 이자 폭탄인지 알아보겠습니다.
주택연금 배우자 상속세 계산 수령액 이자 차감 - upek1.com
주택연금 배우자 상속세 계산을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연금 가입자가 사망을 하면 배우자에게 연금 승계가 이어집니다. 여기서 저당권 방식과 신탁 방식이 약간 차이가 있지만 모두 상속세와
upek1.com
주택연금 이자 폭탄
평생 살 각오가 아니라면 절대로 연금 가입을 추천하지 않습니다. 그럼 이자를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주택금융공사 자료를 보겠습니다. 2024년 4월 2일 기준입니다.
- 감정평가 주택가격 (공시가격) : 5억 원
- 연금 가입 연령 : 65세
- 초기 보증료 : 1.5% 750만 원
- 최대 인출 한도 금액 : 1억 1250만 원
- 월 지급금 : 120만 원
그럼 만 65세 가입자가 100세까지 연금을 받는다는 조건으로 36년간 연금은 총 5억 원을 받습니다. 여기서 주택가격은 실거래가가 아닙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그런데 이자는 보증료 1억 6000만 원, 이자는 9억 원입니다. 합치면 총 10억 6000만 원입니다. 아마 집값이 오르지 않는 이상 상속받을 잔액은 없습니다.
감정평가 5억 원 정도이면 실거래가는 8억 원 정도가 될 것입니다. 평생을 산다면 문제가 없지만 만약 중도에 해지를 하거나 큰돈이 필요한 경우 낭패가 됩니다. 여기서 인출을 할 수 있지만 인출을 하면 월지급금(월 수령액)이 크게 줄어듭니다. 이는 아래 블로그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주택연금 인출 한도 대출 이자 보증료 - upek1.com
주택연금 인출 한도가 있습니다. 다만 인출을 미리 설정하거나 나중에 설정해도 월 수령액(월지급금)은 크게 떨어집니다. 그리고 연금의 최대 단점은 대출 이자 보증료가 복리로 계산되기 때문
upek1.com
다른 예도 들어보겠습니다. 월 100만 원의 주택연금을 받는다고 가정하면 10년간 1억 2000만 원을 받지만 이자는 총 3300만 원이 됩니다. 그런데 20년을 받는다면 총 연금 수령액은 2억 4000만 원이지만 총 대출 이자는 1억 5700만 원입니다. 무려 10년보다 5배 이상 높아집니다. 이유는 금리가 복리로 계산되기 때문입니다.
만약 중도에 해지가 되면 남은 집값은 거의 없을 것입니다. 물론 집값이 크게 상승을 한다면 몰라도, 이자 부담은 매우 큽니다. 그래서 주택연금에 가입하려면 반드시 주의사항이 있습니다.
연금 가입 주의사항
주택연금은 위에서 설명했듯이 집을 담보로 대출을 받는 것입니다. 그런데 실제로 은행에서 집 담보로 대출을 받는 것보다 연금은 이자가 배 이상 폭탄에 가까울 정도가 매우 높습니다. 특히 기간이 길어지면 더 이자가 많아지는 원리입니다.
그래서 중도에 해지할 가능성이 높다면 반드시 가입을 추천하지 않습니다. 평생을 부부가 살 각오로 가입해야 합니다. 그리고 오래 산다면 이익이지만 10년 또는 20년 정도 살고 부부가 돌아가시면 이자가 상당합니다. 자녀에게 상속할 재산이 크게 줄어든다고 할 수 있습니다. 아마 없을 수도 있습니다.
다시 설명을 하면 오래 살아야 하고, 중도에 인출을 하지 않아야 하며, 상속에 대한 걱정은 하지 말아야 합니다. 만약 위 조건을 감당할 수 없다면 연금에 절대 가입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주택연금 대출 이자 얼마일까? 사실상 이자는 폭탄에 가깝습니다. 하지만 병이 걸리거나 큰돈이 필요한 경우의 여유 자금이 있다면, 그리고 건강하게 오래 살 수 있다면, 마지막으로 상속에 대한 부담감이 없다면 연금 가입을 추천합니다. 이 경우가 아니면 연금 가입을 절대로 추천하지 않습니다.
실버타운 이주 주택연금 지급 대상 실거주 예외 인정 - upek1.com
실버타운 이주 주택연금 지급 대상으로 확대가 됩니다. 기존 실거주 예외 인정은 까다롭습니다. 하지만 노인들이 건강한 삶은 위한 이주는 주택연금 대상으로 인정하였습니다. 하지만 주택연금
upek1.com
주택연금 단점 평생 같은 연금액 중도 해지 이자 부담
주택연금 단점 평생 같은 연금액을 받고, 중도 해지 시 이자 부담이 커서 큰 재산적 피해를 볼 수 있습니다. 물가가 상승하고 집값이 올라도 연금액은 변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사정에 의해 중도
upek.tistory.com
실버타운 입주 주택연금 지급 임대 소득 가능 단점
실버타운 입주 주택연금 지급이 가능해졌습니다. 이는 주택연금 지급 실거주 예외 인정 사례가 됩니다. 5월 20일부터 시행합니다. 또 기존 주택에 세입자를 구해 임대 소득도 받을 수 있습니다.
upek.tistory.com
농지연금 단점 가입 연령 상품 알아보자
정부가 농사짓는 노인들의 노후생활을 보장하기 위해 농지연금 연령을 낮추고, 연금 상품 유형을 늘렸습니다. 농사를 지으면서 연금도 받고, 나이가 들어 힘들면 임대하여 월지급금 5%을 더 받
upek.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