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전남 강진군 육아수당 월 60만원 만7세까지 효과

by 태공망71 2023. 6. 20.

전남 강진군이 육아수당 월 60만 원을 지급하면서 출생아 비율이 40%가 늘었습니다. 자녀수와 소득에 상관없이 아이 1명당 만 7세까지 매달 월 60만 원을 지급합니다. 추가로 산후조리비도 지원하고, 첫 만남 이용권, 다둥이 육아용품 구입비까지 추가로 지급하고 있습니다.

 

강진군 육아수당


전남 강진군은 2022년 10월부터 육아수당을 지급하고 있습니다. 부모의 소득과 자녀수 상관없이 무조건 아이 1명당 월 60만 원을 지급합니다. 만 7세까지 84개월을 지급합니다. 최대 5040만 원입니다. 육아수당으로는 전국에서 가장 큰 지원입니다.

 

신생아-한국인
신생아 한국인

 

육아수당은 강진사랑상품권으로 지급하고, 동시에 지역경제도 살리는 효과가 있습니다. 또 아이를 낳고 공공산후조리원을 이용하면 2주간 154만 원을 지원하고, 미이용자에겐 산후조리비 100만 원을 지급합니다. 또 첫 만남 이용권으로 200만 원 지급하고, 다둥이 가구에는 육아용품 구입비 50만 원을 추가로 지원합니다.

 

육아수당 효과


2021년 10월부터 2022년 5월까지 출생아 수는 59명이었습니다. 그러나 육아수당을 시행한 2022년 10월부터는 출생아 수가 같은 기간 2022년 10월부터 2023년 5월까지 83명 40%가 늘었습니다. 전라도는 물론이고 전국적으로 감소하는 추세에서 강진만 크게 늘었습니다.

 

육아수당 덕분에 유입인구가 늘었고, 이동인구도 같이 늘어, 강진군이 투자 비용보다 더 활기찬 군으로 달라지고 있습니다. 이에 강진군 군수는 육아수당은 단순히 아이를 키우는 가정의 책임만 도와주는 것이 아니라, 인구 증가와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키는 아주 좋은 출산 장려 복지 정책이라 말했습니다.

 

다른 지방도 전남 강진군처럼 출산장려금을 비롯하여 육아수당을 강력하게 지원하는 것이 지역소멸, 지방소멸을 막는 최선의 정책이 아닌가 생각해 보기 바랍니다. 

 

 

서울시 엄마아빠택시 택시비 연간 10만원 지원

서울시가 5월 24일부터 엄마아빠택시 사업을 운영합니다. 24개월 이하인 아이와 동반할 경우 택시비 1인당 연간 10만 원을 지급합니다. 특히 병원을 가거나 외식을 할 경우 부모가 챙겨야 할 짐들

upek.tistory.com

 

어린이 패스트랙 도입 저출산 대책 찬성 반대

용혜인 기본소득당 의원이 어린이 패스트랙 도입을 주장하는 기자회견을 가졌습니다. 어린이와 동반하는 가족에게 혜택을 주자는 내용입니다. 이미 일본에서는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고, 일

upek.tistory.com

 

괴산군 출산장려금 5000만원 산후조리비 기저귀 비용 추가

괴산군은 셋째 아이부터 출산장려금 5000만 원을 지급합니다. 거기다 추가로 산후조리비 100만 원, 그리고 기저귀 구매 비용 월 8만 원을 지원합니다. 특히 농업인이 출산할 경우 영농활동과 가사

upek.tistory.com

 

서울 두 자녀 가구 혜택 공영주차장 반값

서울에 사는 두 자녀 이상 가구는 3월 27일부터 공영주차장 주차료를 반값에 이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추가로 자연체험시설, 서울상상나라, 제대혈 공급비용 등이 감면 또는 무료 사용이 가능

upek.tistory.com

 

충남 부여군 결혼정착금 700만원 지역소멸 저출산

인구 감소 지역 소멸 정책에 일환으로 충남 부여군이 결혼정착금 700만 원을 지급합니다. 부여군에서 살고, 주민등록증 거주자이어야 합니다. 정착금이라 결혼 1년 이후 신고하면 결혼정착금을

upek.tistory.com

 

안양시 출산지원금 1000만원 5월1일부터 지원

경기 안양시 5월 1일부터 출산지원금 2배로 늘렸습니다. 첫째 아이는 200만 원, 둘째 아이는 400만 원, 셋째 이후는 1000만 원을 지급하기로 했습니다. 작년 기준보다 2배 이상 늘었습니다. 추가로 임

upek.tistory.com

 

서울시 산후조리비 100만원 지급 소득 기준 없음

서울시가 모든 출산 가정에 올해 9월부터 산후조리비 100만 원을 지급합니다. 소득 기준이 없으며 6개월 이상 서울 거주자이면 됩니다. 사용처는 산후조리비는 물론이고 산모도우미 서비스, 약품

upek.tistory.com

댓글